본문 바로가기
금융 생활

ETF? ETN? 뭐가 다른걸까?

by everyhahaha 2022. 6. 19.
반응형

출처: unsplash

 

요즘 투자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주식투자 외에도 원자재, 금, 달러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그 중 ETF는 여러 기업이나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한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보다 위험요인을 낮출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선택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그런데 ETF에서 한 글자가 다른 ETN이라는 상품도 눈에 띕니다. 

 

 

 

ETF와 ETN의 공통점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모두 기초자산의 지수를 추종하고 거래소에 상장돼서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기초자산의 가격 변화를 그대로 따라가는 선형의 수익구조를 가집니다. 일부 옵션이 포함된 상품은 비선형 수익구조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둘의 차이점은 뭘까요?


ETF란?


우선 ETF는 'Exchange Traded Fund'로 펀드의 일종입니다. 주가, 환율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를 시장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일반적인 펀드는 거래할 때 신청서를 작성하거나 장 마감가격에 거래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ETF는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상품 이름을 살펴볼까요.

시가총액 1위인 'KODEX 200'은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KODEX는 삼성자산운용사의 ETF브랜드로, 이렇듯 앞에는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브랜드가 들어갑니다. 뒤에는 종목의 개수로, 200은 200개의 종목이 들어있다는 뜻입니다.

 

ETF는 최소 10개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물론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하는 만큼 단기간의 드라마틱한 수익률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산을 자산운용사가 아니라 제3자가 보관하기 때문에 자산운용사가 파산하더라도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ETN란?


그렇다면 ETN은 뭘까요?

ETN은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장지수채권입니다. 즉, 펀드가 아닌 채권상품입니다. (ETN의 N은 채권을 뜻하는 Note입니다.)

 

ETN 이름도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은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상장되어있는 WTI 원유 선물의 양의 2배 일간수익률을 추종하는 ETN입니다. 보시면 앞에는 삼성처럼 ETN을 발행한 증권회사의 이름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이름 앞만 보고도 ETF(자산운용사의 브랜드명)인지 ETN(증권회사명)인지 구별이 가능합니다.

 

그 외의 특징은 ETN은 증권사에서 발행하는 상품으로 만약 증권사가 파산하는 경우 돈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ETN은 ETF와 다르게 만기가 있습니다.

 

 

 

 

  ETF ETN
상품성격 펀드 채권
기초자산 시장추종형 지수 맞춤형 지수
발행주체 자산운용사 증권사
신용위험 X O
만기 X 1 - 20년

 

지금까지 설명한 두 상품의 차이점을 정리한 표입니다.

여러분의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