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앞으론 키보드와 마우스보다 터미널에 더 익숙해지기 위해 명령어를 정기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맥 유저라 맥이라 적었지만 유닉스 계열은 명령어가 비슷해서 윈도우분들도 일부 참고 가능할 것 같다.
반응형
터미널 실행 | command + space -> 터미널 입력 | 아님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시켜도 되고.. 그건 자유 |
탐색 | ls | list의 줄임말. 현재 자신이 위치한 경로에 있는 파일, 폴더 확인 |
현재 경로 | pwd |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 현재 자신의 위치한 경로 출력 |
경로 이동 | * cd 특정폴더명/특정폴더명 : 특정 폴더로 이동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d와 .사이에 띄어쓰기) * cd 또는 cd ~ :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 |
Finder에서 열기 | * open . : 현재 디렉토리를 Finder에서 열기 * open ~ : 홈 디렉토리를 Finder에서 열기 |
|
터미널 지우기 | clear | |
사용한 명령어 확인 | *history : 현재까지 사용한 명령어 내역 확인 *history -c : 현재까지 사용한 명령어 내역 삭제 |
파일 생성 | touch 파일명.확장자 | 현재 자신의 위치한 경로에 내용이 비어있는 파일 생성 |
폴더 생성 | mkdir 디렉토리명 | make directory의 줄임말. 현재 자신의 위치한 경로에 비어있는 디렉토리 생성 |
파일 내용 보기 | cat 파일명.확장자 | |
파일 삭제 | rm 파일명.확장자 | remove의 줄임말. |
폴더 삭제 | rmdir 폴더명 | remove directory의 줄임말. |
파일, 폴더 복사 | cp 파일명.확장자/폴더명 | copy의 줄임말. |
파일, 폴더 이동 및 이름 변경 |
mv 파일명.확장자/폴더명 이동시킬경로 | move의 줄임말. |
정보 조회 | whoami | |
권리자 권한으로 실행 |
sudo |
폴더 vs 디렉토리명
평소 둘은 거의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파일을 담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디렉토리는 파일시스템 관점에서 파일들을 묶어두는 개념이고,
폴더는 파일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는 네트워크 환경, 내 컴퓨터 같은 특수한 항목까지 포함돼 더 넓은 개념이다.
홈 디렉토리 : 사용자 계정명으로 설정된 폴더로, 터미널을 시작할 때의 기본 디렉토리
보시고 오류있는 부분은 언제든 알려주세요 :-)
모두 즐코하세요-!
반응형
'코딩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JS] 레벨 0. 구슬을 나누는 경우의 수 (feat. 소수점 계산 오류) (0) | 2023.04.10 |
---|---|
[xcode 오류] xcode-select: error: tool 'opendiff' requires Xcode, but active developer directory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is a command line tools instance (0) | 2023.04.08 |
터미널에서 code 명령어로 VS code 열기 (mac) (0) | 2023.04.07 |
터미널에 파일, 폴더명에 공백이 있을 경우 (0) | 2023.04.07 |
mac root 계정 비밀번호가 뭐죠..? (0) | 2023.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