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 생활

[깃을 마스터해보쟈] 3. 깃 사용하기

by everyhahaha 2023. 4. 10.
반응형

글 순서

1. 처음 세팅

2. 버전 확인

3. 브랜치 관리

4. 간단 조작


 

1. 처음 세팅

 git init  git 저장소 초기화하고 새로운 git 저장소를 만든다.
보통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새로운 로컬 git 저장소를 만들 때 사용.
 git add  파일의 현재 상태를 기록 또는 버전 생성
 git add  : 특정파일명: 특정 파일을 기록
 git add  : 파일1 파일2: 여러 파일을 기록
 git add .  : 작업 폴더의 모든 파일을 기록
 git commit -m '설명'  코드와 관련된 설명을 같이 기록

출처: 코딩애플 깃&깃헙 강의(무료) → https://codingapple.com/course/git-and-github/

git add란 작업폴더에서 staging area로 옮기는 작업

→이 때 commit할 파일을 골라놓는 행위를 stag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git commit이란 저장소로 파일을 업로드하는 작업


2. 버전 확인

 git status  현재까지 변경된 파일, 스테이징된 파일 보기
 git log --all --online  현재까지 커밋한 내역 한눈에 보기
 git log --all --online --graph  현재까지 커밋한 내역 한눈에 그래프로 보기
 git diff  최근 커밋과 현재 파일의 차이점을 터미널로 확인
 git difftool  git diff와 동일하지만 vim 에디터를 통해 차이점을 보다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git difftool 커밋id  현재 파일과 특정 커밋과 비교
 git difftool 커밋id1 커밋id2   특정 커밋끼리(커밋id1과 커밋id2) 비교

왼쪽 노란색 글씨가 특정 커밋의 id

git diff로 수정된 코드를 확인하는데
왜 수정한 적 없는 코드가 삭제됐다가 다시 추가된 걸로 나오죠?

기존 코드에서 스페이스나 엔터를 친 것까지 모두 수정이 된걸로 보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 수 있다

3. 브랜치 관리

원본을 직접 수정하는게 부담이면 프로젝트 사본을 만들어서(branch) 테스트하고 괜찮으면 합치기(merge)

출처: 코딩애플 깃&깃헙 강의(무료) → https://codingapple.com/course/git-and-github/

 

 git branch 생성할브랜치이름  브랜치 만들기
 git switch 이동할브랜치이름  해당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branch -d 브랜치명  합친 브랜치 삭제하기 브랜치는 합쳐져도 남아있기 때문에 따로 삭제를 원할 때 사용
(일반적으로 다 사용한 브랜치는 합친 후 삭제한다)
 git branch -D 브랜치명  합치지 않은 브랜치 삭제하기(실수로 만든 브랜치 등)
 git merge 합칠브랜치명  브랜치 합치기 방법1
중심 브랜치로 이동 후 → git merge 합칠브랜치이름
 git rebase 중심브랜치명  브랜치 합치기 방법2 (보기 더 깔끔하다)
합칠 브랜치로 이동 후→ git rebase 중심브랜치명
→ 중심 브랜치로 이동 → git merge 합칠브랜치이름
 git merge —squash 합칠브랜치명  브랜치 합치기3 (보기 더 깔끔하다)

 


4. 간단 조작

터미널 내에서 스크롤말고 방향키처럼 움직일 수 있다.

j 아래로
k 위로
q 종료

 


그리고 내가 처음 깃을 사용했을 때의 실수들을 정리하면,

 

1. 처음으로  git add 를 하려고 하는데 특정 파일명만 시도해서 터미널에서 자꾸 해당 파일이 없다고 했던 경우

혹시 해당 파일이 폴더 안에 있는 경우 "폴더명/파일명.확장자"로 적어줘야한다.

뭐든 해당 경로 기준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어떤 위치에 있는지 우선 파악해야한다.

 

아래 이미지에 보면 src 폴더에 있는 App.js 파일이라면  git add src/App.js  라고 명령하면 된다.

반응형

댓글